문화

명사와 국가유산
사진으로 담아내는 대한민국 문화유산의 위대함
'강형원 포토저널리스트 칼럼니스트'

‘언론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퓰리처상을 2회 수상한 강형원 포토저널리스트 겸 칼럼니스트는 요즘 바쁘게 하루하루를 보낸다. 우리나라 문화유산을 세계에 알리겠다는 사명을 갖고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역사와 문화의 아름다움을 기록하는 ‘Visual History of Korea’ 프로젝트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그를 종묘에서 만나 보았다.




빛나는 명성에서 얻은 건 겸손함
강형원 사진기자는 1977년 중학교 1학년 때 부모님을 따라 미국으로 이민 갔다. 그곳에서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를 마친 그는 LA타임스, AP통신, 백악관 사진부, 로이터통신 등에서 사진기자로 일하며 평생 한 번도 받기 힘들다는 퓰리처상을 두 번이나 받으며 사진기자로서 최고의 영예를 누렸다.
“UCLA에 다닐 때 학교 일간지 기자로 일을 했습니다. 주변에 상가가 워낙 많았기 때문에 학교 신문임에도 광고비를 받을 수 있어서 학생기자도 어느 정도 보수를 받았어요. 그 당시 사진기자를 하면서 얻은 건 ‘세상을 어떤 시각으로 보느냐’에 대한 깨달음이 었습니다. 세상을 시각적으로 해석하는 스토리텔링 능력을 키우게 된 거죠.”
학교신문사에서 주 70시간 이상 일했던 강형원 사진기자는 그 이력으로 미국 전역에서 단 1명을 뽑는 LA타임스 사진기자로 입사할 수 있었다. 그는 유수의 언론기관에서 사진기자로 일했던 모든 순간을 ‘자신을 겸손하게 만드는 경험(The Humbling Experience)’이었다고 표현했다. 동료 사진기자에게 “네 사진은 진짜 대단하다”라는 얘기를 들었던 순간에도 자신보다 더 잘 찍는 사람은 늘 존재했기 때문이다. “모든 순간 겸손함을 잃지 않으려 했다”라는 그의 말은 퓰리처상을 수상한 그 찬란했던 시절에도 자신의 언행을 다스렸던 근간이 되었다.
유수의 언론기관에서 사진기자로 일했던 모든 순간을 ‘자신을 겸손하게 만드는 경험(The Humbling Experience)’이었다고 표현했다.

강형원 포토저널리스트 칼럼니스트


세상의 편견을 움직인 사진 한 장
신문기자로 일했던 시기, 사건과 사고 현장은 늘 그의 일터였다. 미국 LA폭동 때도, 클린턴-르윈스키 스캔들 때도, 6.10 민주항쟁 때도 그는 늘 무기처럼 카메라를 장착한 채 현장을 누비면서, 누구보다 적확하고 왜곡 없는 사진으로 세상을 설득하고 변화를 일으켰다.
세간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는 1992년 LA폭동 사진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폭력을 행사한 백인경찰에게 분노한 흑인들이 일으킨이 폭동은 어느 순간부터 한인과 흑인 간의 갈등으로 변질되었고, 한인들은 가족과 이웃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총을 들었다.
방탄조끼와 카메라를 들고 그 전쟁 같은 곳으로 뛰어든 강형원 사진기자의 사진은 증오와 갈등의 현장을 마침내 화해와 평화의 길로 이끌었다. 말 그대로 세상을 시각적으로 해석해 사회의 흐름을 바꿨던 절정의 순간이었다. 강형원 사진기자의 사진 한 장으로 동양인 남자가 필연적으로 겪어야 했던 인종차별과 나약하다는 편견을 깨부술 수 있었다.
“미국 사람들은 누군가를 평가할 때 말을 시켜보고 자신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들어요. 자신의 생각을 잘 표현해야 진정한 지식인 이라고 생각하니까요. 제가 인종차별을 덜 느끼기 시작했던 건 미국 사람보다 더 고급스러운 어휘를 구사하기 시작했던 때였어요. 미국인은 정당한 논리를 표현하는 사람을 감히 차별하지 못합니다. 언어의 힘이 그만큼 강한 거죠.”
동양인이었던 그가 백인이 주류로 있는 언론사 사진팀을 이끌고 퓰리처상을 2번이나 탈 수 있었던 것도 리더로서 가고자 하는 방향성을 정확히 제시하고 뛰어난 논리와 이해로 설득해 팀원들의 전폭적인 신뢰를 받은 데서 비롯되지 않았을까 짐작해 본다.
오늘날 대한민국의 위상은 우리의 역사와 문화가 근간이 되었다는 것을 절대 잊어서는 안 되죠. 이것이 제가 문화유산을 기록하는 이유입니다.

左) 국보 성덕대왕신종©강형원: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은 불교가 국교였던 신라에서 33대 성덕대왕의 삼남 경덕왕이 아버지 성덕대왕의 공을 기리고자 만들기 시작해서 실패를 거듭하다 34년 만에 아들 대에 와서야 어렵사리 완성시킨 신라시대 최대 걸작 범종(梵鐘)이다.
右) 우정의 종(The Korean Bell of Friendship)©강형원: ‘로스앤젤레스 역사적인 유적(Los Angeles HistoricCultural Monuments)’으로 지정된 우정의 종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평양을 바라보는 산페드로 해안에 위치해 있다. 771년에 주조한 성덕대왕신종을 모델로 17톤의 구리와 주석, 금, 니켈, 납, 인 등으로 만들었으며, 1976년 미국 독립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한국이 선물하였다. 미국 이민자의 상징물로 동부에서는 자유의 여신상이, 서부에서는 우정의 종이 대표하고 있다.


우리 역사와 문화에 대한 주인의식이 필요하다
강형원 사진기자는 33년간의 주류 언론사 기자 생활의 연장으로 한국으로 들어와 영어칼럼과 사진으로 우리 문화를 집필하는 ‘Visual History of Korea’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알에이치코리아(RHK)에서 출간한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을 보고 누군가는 ‘미국에서 활동하던 사진기자가 갑자기 왜 한국 문화유산?’이라며 물음표를 찍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는 강형원 사진기자가 오래도록 품어온 꿈이자 목표였다. 오늘 인터뷰 장소로 종묘를 선택한 것도 그 이유와 맞닿았다.
“우리 역사와 문화에 대한 주인의식이 필요합니다. 오늘날 대한민국의 위상은 우리의 역사와 문화가 근간이 되었다는 것을 절대 잊어서는 안 되죠. 이것이 제가 문화유산을 기록하는 이유입니다.” 미국에서 주류 언론의 사진기자로 수많은 사람을 만나면서 강형원 사진기자에게 고국인 대한민국은 늘 안타까움의 대상이었다. 영어문화권에서 대한민국의 존재감은 미약했고 그 찬란한 문명을 아는 이가 거의 없다는 사실이 그에게 늘 소금이 뿌려진 상처처럼 따갑고 쓰라렸다. 그래서 그는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에 한글과 영어를 나란히 실었다. 단순한 정보의 나열이 아닌 한국의 문화와 역사, 문화유산을 깊은 통찰력으로 담아냈다. 실제로 책이 출간된 뒤 전 세계에서 받은 메시지나 연락들은 감탄에서 감동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사진자료 요청으로 이어졌다. 그의 작은 날갯짓으로 일어난 거대한 파장이었다.

강형원 사진기자가 한인 최초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사진©강형원: 1992년 4월 29일 LA폭동 당시 경찰이 없는 상황에서 한인타운을 지키는 한인청년들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을 찾다
봄날에 찾은 종묘에서 그의 발걸음은 느릿했지만 종묘를 바라 보는 시선은 예리하고 따뜻했다. 그곳에서 그는 ‘종묘의 위대함, 종묘 곳곳에 나타나 있는 역사적 의미, 한글과 한국어의 위대함,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에 실렸던 다양한 우리 문화유산 이야기’를 쏟아냈다. 그의 말은 정보를 뛰어넘어 오랜 역사와 문명 속으로 사람을 흡입시키는 확실한 힘을 갖고 있었다.
강형원 사진기자는 예나 지금이나 분초를 쪼개 쓴다. 그에게 강연을 청하거나 대화를 나누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초대에 기꺼이 응하는 그는 여전히 한국사와 한국 문화, 문화유산에 대해 치열하게 공부하는 학도이기도 하다. 요즘은 우리의 위대한 한글을 해외에 소개하는 데 누구보다 열성적이었던 호머 헐버트 박사에 대해서 연구 중이라는 그는 북한의 문화유산 또한 사진으로 남겨보고 싶다는 바람도 전했다.
강형원 사진기자는 최근 자신이 전국을 누비며 찍은 한국 문화유산 사진 100장을 문화체육관광부에 기증했다. ‘정보 홍수 시대에 살고 있는 지금,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양질의 사진 공유가 필요하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이는 그가 ‘Visual History of Korea’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 이유에 대한 또 다른 답인 셈이다. 우리 역사를 담고, 현재를 보여주며, 다시 지속가능한 미래를 꿈꾸게 하는 강형원 사진기자의 문화유산 사진들은 세상을 움직이는 강한 힘을 지니고 있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서 왔는가, 나의 뿌리는 어디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하다 보면 결국 하나의 종착지가 나옵니다. 저는 그곳을 찾았고, 그 위대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EDITOR AE류정미
문화재청
전화 : 1600-0064 (고객지원센터)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정부대전청사 1동 8-11층, 2동 14층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다양하고 유익한 문화재 관련정보
본 칼럼니스트의 최근 글 더보기
해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